- HOME
- > Business
- > 블록체인 핀테크
- > BU STO 표준 플랫폼
BU technology STO 표준 플랫폼
부동산, 선박, 예술품, 에너지 자원 등 유무형의 자산을 토큰증권으로 발행(Security Token Offering)하고 싶은 수요기업에게 토큰증권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.

토큰증권
(ST, Security Token)
- • 분산원장 기술(Distributed Ledger Technology)을 활용해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디지털화 한 것
- • 디지털자산 형태로 발행되었을 뿐 ‘증권'에 해당하며, 자본시장법의 규율 대상.

토큰증권 발행
(STO, Security Token Offering)
- • 토큰증권의 발행/유통
- • 부동산, 예술품, 선박, 음악 등 콘텐츠 저작권, 한우에 이르기까지 유무형의 다양한 자산 취급 가능
토큰증권 시장
- 2024년 STO시장 개화를 앞두고 증권가와 블록체인 기업, 자산보유 기업 등이
- 활발하게 연구개발과 컨소시엄 구축에 나서고 있는 분위기
각 증권사별
STO 전담 부서 신설
STO 전담 부서 신설
증권사의
조각투자사 인수
조각투자사 인수
업계 내
컨소시엄/협의체
구축 및 MOU 활발
컨소시엄/협의체
구축 및 MOU 활발
금융규제 샌드박스
적용을 통해 운영되는
조각투자 시장 활성화
적용을 통해 운영되는
조각투자 시장 활성화
- 미국 시티은행 보고서 “2030년 글로벌 토큰증권 산업 규모 4-5조 달러(5-6000조원) 예상"
- 하나금융경영연구소 “국내 토큰시장 규모 2024년 34조원, 2030년 367조원 예측"
토큰증권 제도화에 따른 기대효과
- • 블록체인을 활용해 거래 투명성 보장. 투자자 보호 효과
- • 스마트 계약(Smart Contract)으로 기존 금융 대비 자본 조달 시간과 비용 절감에 따른 효율화
- • 다양한 자산의 증권화를 통해 실물자산의 유동성 증가
- • 새로운 투자처의 탄생과 시장 성장
토큰증권화할 수 있는 자산
- 실물 자산, 비즈니스 모델, 저작권 등 다양한 유무형 자산

BU technology STO 플랫폼 특징

멀티코어란?
하이퍼레저 베수(Besu)를 지원하는 플랫폼과 하이퍼레져 패브릭(Fabric)을 지원하는 플랫폼의 결합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코어에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

Architecture
